안녕하세요!
오늘은 주식연계채권(EB, CB, BW)과 MAU의 뜻에 대해 공부해 보겠습니다.
주식연계채권의 정의와 세 가지 종류,
디지털 플랫폼 활성도와 관련된 MAU의 의미에 대해 알아봅니다.
1. 주식연계 채권
주식연계채권이란,
발행 시 일정한 조건으로 발행기업의 주식이나
기업이 담보한 타사의 주식으로
전환, 교환이 가능한 채권입니다.
세 가지 연계채권의 상세 정의와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EB (Exchangeable Bond), 교환사채
EB는 교환사채라는 의미로, 채권의 보유 일정기간이 지나면
발행회사가 보유중인 자사나 타 회사의 주식으로
교환할 수 있는 권리가 있는 사채를 말합니다.
대부분 자사주로 교환된다고 합니다.
투자자는 미래 가격상승에 따른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고
발행회 사는 낮은 이자율로 사채를 발행하여
적은 금융부담으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습니다.
보통의 회사채에 비해 만기보장수익률이
낮은 편입니다.
교환이 이루어질 때,
발행기업의 자산과 부채는 동시에 감소하게 됩니다.
교환대상 유가증권은 상장유가증권으로 제한되고,
증권예탁원에 의무 기간 동안 예탁해야 하므로
기업 입장에서는 고정자산화를 초래한다고 합니다.
2) CB(Convertible Bond), 전환사채
전환사채는 일정 보유 기간이 지난 후
발행회사의 신주(보통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있는 사채를 의미합니다.
채권을 해당 회사의 주식으로 전환하여
주가상승에 따른 이익을 취할 수도 있고,
반대로 주식시장이 침체상황인 경우
사채로 계속 보유할 수도 있습니다.
전환사채(CB)는 교환사채(EB)와 다르게
신주발행에 따른 자본금의 증가가 있습니다.
3) BW(Bond with warrant), 신주인수권부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는 발행회사가 주식을 발행할 경우
미리 약정된 가격에 일정 수량의 신주를 인수할 수 있는
권리가 있는 사채를 말합니다.
마찬가지로 주가변동에 따라
인수권을 행사할 수도 있고 포기할 수도 있습니다.
만약 주가가 상승하여
신주인수권을 행사할 경우에는
발행회사의 자기자본이 증가하게 됩니다.
전환사채(CB)는 주식으로 교환 시
해당 사채가 소멸되는 데 반해
신주인수권부사채(BW)는 인수권만 소멸되며
사채는 계속 효력을 갖는 차이점이 있다고 합니다.
2. MAU (Monthly Active Users)
MAU란, 월간 활성사용자 수를 뜻합니다.
주로 앱이나 웹사이트 등 디지털 플랫폼에서
사용자의 활동과 이용 빈도를 측정하는데 쓰입니다.
즉, 성장의 척도로도 기능하기에
많은 앱 제공기업들은
MAU 선두를 유지하기 위해서 경쟁을 합니다.
핀테크 기업에서는
해당 앱에 더 많은 사용자가 머물도록 하기 위해
이른바 락인(Lock-in)효과를 노립니다.
핵심 서비스들을 모아 하나의 앱에서 제공하는 것이죠.
각 업계에서 제공하는 플랫폼마다
MAU 순위가 주목을 받는 건
즉각적인 성장세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어플 MAU 200만명 돌파..."라는 문구는
해당 어플의 월 사용자 수를 의미하는 것이며,
기사를 통해 해당 어플의 주요 기능과
고객 유치 주요 전략 등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세 가지 주식연계채권의 종류와
MAU의 뜻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에도 여러분야 경제상식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공부하자 > 나의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CFD, PG사업, 역모기지의 뜻은? - 기초경제상식 파고들기 (0) | 2024.02.20 |
---|---|
증자, 증거금, 가산금리의 뜻은? - 기초경제상식 파고들기 (1) | 2024.02.19 |
포이즌필, 스타벅스 지수, 디레버리징의 뜻은? - 기초경제상식 파고들기 (0) | 2024.02.18 |
실물경제와 금융경제, 타깃데이트펀드, LTV의 뜻은? - 기초경제상식 파고들기 (1) | 2024.02.16 |
예타조사, 인적분할, 물적분할의 뜻은?- 기초경제상식 파고들기 (0) | 2024.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