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하자30

주식연계채권(EB, CB, BW), MAU의 뜻은? - 기초경제상식 파고들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주식연계채권(EB, CB, BW)과 MAU의 뜻에 대해 공부해 보겠습니다. 주식연계채권의 정의와 세 가지 종류, 디지털 플랫폼 활성도와 관련된 MAU의 의미에 대해 알아봅니다. 1. 주식연계 채권 주식연계채권이란, 발행 시 일정한 조건으로 발행기업의 주식이나 기업이 담보한 타사의 주식으로 전환, 교환이 가능한 채권입니다. 세 가지 연계채권의 상세 정의와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EB (Exchangeable Bond), 교환사채 EB는 교환사채라는 의미로, 채권의 보유 일정기간이 지나면 발행회사가 보유중인 자사나 타 회사의 주식으로 교환할 수 있는 권리가 있는 사채를 말합니다. 대부분 자사주로 교환된다고 합니다. 투자자는 미래 가격상승에 따른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고 발행회.. 2024. 2. 21.
CFD, PG사업, 역모기지의 뜻은? - 기초경제상식 파고들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CFD, PG사업, 역모기지의 뜻에 대해 공부해 보겠습니다. CFD 거래의 의미와 그 예시에 대해 알아보고 PG사업의 뜻, 주택연금이라 불리는 역모기지의 정의와 목적에 대해 알아봅니다. 1. CFD (Contract for Difference) CFD는 차액결제거래를 말합니다. 파생상품의 일종으로, 주식이나 다른 금융상품의 가격 변동에 따른 차익을 얻는 거래입니다. 실자산을 소유하지 않은 상태에서 가격변동에 따라 손익을 봅니다. 어제 증거금에 대해 공부해봤는데요, 2024.02.19 - 증자, 증거금, 가산금리의 뜻은? - 기초경제상식 파고들기 증자, 증거금, 가산금리의 뜻은? - 기초경제상식 파고들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증자와 증거금의 뜻에 대해 공부해 보겠습니다. 증자의 의미와 유증.. 2024. 2. 20.
증자, 증거금, 가산금리의 뜻은? - 기초경제상식 파고들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증자와 증거금의 뜻에 대해 공부해 보겠습니다. 증자의 의미와 유증상자, 무증상자의 차이점, 증거금과 가산금리의 뜻과 목적에 대해 알아봅니다. 1. 증자 증자란, 기업이 일정한 절차를 통해 자본금을 늘리는 것을 말합니다. 이사회의 결의로 시행됩니다. 자금확보나 재무구조 개선, 경영권 확보나 앞서 언급한 디레버리징을 위해서도 증자가 실행됩니다. 차입이 어려운 시기에 늘어납니다. 단, 합병 등으로 자본금이 늘어나는 경우에는 증자라고 일컫지 않습니다. 증자는 실 자산의 증가 여부에 따라 유상증자와 무상증자로 나뉩니다. 1) 유상증자 (대가를 받고 주식을 발행) 유상증자는 실질적인 회사의 자본금을 늘리는 것입니다. 신주를 발행해, 주주나 제3자가 매입하여 주식과 회사의 자산 증가를 목적으로 합니.. 2024. 2. 19.
포이즌필, 스타벅스 지수, 디레버리징의 뜻은? - 기초경제상식 파고들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포이즌필, 스타벅스 지수, 디레버리징의 뜻에 관해 공부해 보겠습니다. 기업의 경영권 방어전략으로 꼽히는 포이즌필의 뜻, 구매력 비교에 쓰이는 스타벅스 지수의 상세 의미, 디레버리징의 의미와 목적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포이즌필 (poison pill) 포이즌필이란, 기업 경영에서 사용되는 방어 수단 중 하나로, 타기업이 적대적인 인수를 시도할 때 이에 대한 전략입니다. '신주인수선택권'이라고도 합니다. 적대적 인수합병(M&A)나 경영권 침해 발생 시 대규모로 신주를 발행하거나 인수 시도자를 제외한 기존 주주에게 훨씬 저가의 가격으로 지분을 매입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결과적으로 인수 시도자는 인수 비용이 급증하거나 인수가 불가능해질 수도 있어 인수자의 입장에서 포이즌 필 .. 2024. 2. 18.
실물경제와 금융경제, 타깃데이트펀드, LTV의 뜻은? - 기초경제상식 파고들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실물경제와 금융경제, 타깃데이트펀드, LTV의 뜻에 관해 공부해 보겠습니다. 실물경제와 금융경제의 의미와 차이점, 타깃데이트 펀드의 뜻과 목적, LTV의 정의와 DSR, DTI와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봅니다. 1. 실물경제와 금융경제 1) 실물경제 (Real Economy) 실물경제란 실제 존재하는 재화와 서비스의 생산, 가공, 유통 및 소비 등과 관련된 경제 활동을 의미합니다. 실물경제지표에는 GDP, 국민총소득, 실업률, 고용률, 물가 등이 포함됩니다. 2) 금융경제 (Financial Economy) 금융경제는 실물 없이 돈만 오가는 흐름을 말하며, 화폐경제라고도 합니다. 자금의 유입과 유출, 투자, 대출, 투자 등과 같이 자금의 흐름과 관련된 활동에 중점을 둡니다. 주식시장, 채.. 2024. 2. 16.
예타조사, 인적분할, 물적분할의 뜻은?- 기초경제상식 파고들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예타조사(예비타당성조사), 타깃데이트펀드와 물적분할에 대해 공부해 보겠습니다. 예타조사의 정의와 목적, 기업의 분리방식인 인적분할과 물적분할의 뜻과 목적에 관해 알아봅니다. 1. 예비타당성조사 예비타당성조사란, 기획재정부 주관으로 국가 내 대규모 개발사업에 대한 우선순위, 적정 투자시기, 재원조달 방법 등 해당 사업의 타당성을 검증 평가를 실시해 재정운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입니다. 대규모 재정사업에 대한 객관적, 중립적 조사를 통해 신규투자를 우선순위에 입각하여 결정하게 함으로써 예산 낭비를 방지하며, 공공사업의 투명성 제고를 위한 절차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사업은? 1) 총 사업비 500억원 이상이며 국가 재정지원 규모가 300억 원 이상인 건설사업, 정.. 2024. 2.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