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숏포지션, 주주환원정책, 리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식용어 숏포지션의 의미와 숏커버링의 뜻까지,
주주환원정책의 종류와 효과,
리츠의 정의에 대해 공부해 보겠습니다.
1. 숏포지션과 숏커버링
주식용어에서 '숏'은 주식 매도, 주가하락을 예상하는 것을 말하는데요,
숏포지션(short position)이란
선물 매도 계약을 한 상태를 뜻합니다.
반대로 롱포지션(long position)은 매수 계약 상태를 뜻합니다.
일반적인 투자자들이
미래에 더 높은 값으로 되팔 수 있다는 기대를 가지고
매입하는 거래를 말합니다.
지난 시간, 공매도에 대해 배워봤는데요.
2024.02.03 - 공매도, 워크아웃, 매파와 비둘기파의 뜻은? - 기초경제상식 파고들기
공매도, 워크아웃, 매파와 비둘기파의 뜻은? - 기초경제상식 파고들기
안녕하세요! 공부를 이제 막 시작한 경제초보, 열심히 알아봅니다. 오늘은 공매도, 워크아웃, 매파의 의미에 대해 파고들어 보겠습니다. 공매도의 뜻과 기능을 살펴보고 워크아웃의 뜻과 단계에
plasticitee1205.tistory.com
공매도를 숏포지션이라 지칭하기도 합니다.
자산을 빌려 팔고 나중에 주가가 떨어질 때
다시 싸게 사서 이익을 얻는 전략을 말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예상과 달리 주가가 상승하게 되면, 손해를 막기 위해 빌린 주식을 갚아야 하는데
이러한 주식의 재매입을 '숏커버링(short covering)'이라고 합니다.
선물 계약의 해지를 의미하죠.
"환매수" 혹은 "공매도 청산"이라고도 불립니다.
해당 자산을 더 비싼 가격에 사서 결국 포지션을 종료하는 것이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주가 상승이 가속화될 수도 있습니다.
주로 가격변동요인이 많은 국제곡물시장에서 숏커버링이 활발히 일어난다고 하네요.
숏 = 주식의 매도, 주가 하락 예상, 매도포지션
숏포지션 = 선물매도 계약, 공매도
숏커버링 = 공매도 청산 = 환매수
이렇게 정리해 볼 수 있겠습니다.
2. 주주환원정책
주주환원정책(Shareholder Return Policy)은
기업의 이익을 주주들에게 돌려주는 방식을 말합니다.
대표적으로 배당, 자사주 매입 방식이 있습니다.
1) 배당
기업 이익의 일부를 주주에게 배당금의 형태로 지급하는 방식입니다.
이윤의 극대화를 통한 주주 환원은 주식회사의 주요 존재이유입니다.
현금배당과 주식배당으로 구별됩니다.
2) 자사주 매입
기업은 자사주를 시장에서 매입할 수 있습니다.
유통량이 줄어 발행 주식수가 감소하고, 주가가 안정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매입 후 소각 시, 주주에게 이익이 환원됩니다.
단, 이때 기업이 매입한 자사주를 소각하지 않고
일정기간 지난 후 시장에 처분할 경우 일시적인 효과에만 그친다고 합니다.
이 외에도 채무 상환 등을 통한
기업의 자본 구조개선, 높은 신용등급 유지 효과로
투자자의 신뢰를 확보하는 방법도 존재합니다.
정부는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 증시 저평가) 개선책으로,
올 2월 중으로 기업가치(밸류에이선) 제고 정책 발표를 예고했습니다.
이에 대한 반응으로,
앞으로 주주환원을 확대할 것으로 예상되는 기업들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고 하네요.
3. 리츠(Real Estate Investment Trust)
리츠는 부동산투자신탁으로,
부동산개발사업·임대·주택저당채권 등에 투자하여
발생한 수익을 배당으로 지급합니다.
만기는 3년 이상이 대부분이며 소액으로도 투자가 가능합니다.
부동산에 직접 투자하기 어려운 개인투자자들에게 간접투자의 수단으로 이용됩니다.
설립 형태에 따라 회사형과 신탁형으로 구분됩니다.
1) 회사형 리츠
주식을 발행하여 투자자를 모읍니다.
증권시장에 상장할 수 있고, 일정기간 단위 투자자에게 배당합니다.
2) 신탁형 리츠
상장이 금지되어 있으며, 수익증권을 발행하여 투자자를 모읍니다.
리츠 운영기업은 관련 법에 따라
총 자산 70% 이상을 부동산에 투자하고
배당가능이익의 90% 이상을 의무배당하도록 되어있다고 합니다.
*배당가능이익 = 순자산액 - 자본금 - 법정 준비금 및 임의준비금 공제 후 남는 금액
소액으로도 부동산 투자가 가능하여 일반인들도 쉽게 참여할 수 있으며
실물자산인 부동산에 투자하여 가격이 안정적입니다.
이익이 목적이라기보다는
가격 상승에 따른 수입증가분 분배가 목적이라 자산 증식은 어렵다고 합니다.
오늘은 이렇게 숏포지션과 숏커버링, 주주환원정책, 리츠에 관해 알아보았습니다.
개념정도만 알아둬도
경제뉴스를 읽을 때 도움이 많이 되는 느낌입니다.
앞으로도 계속 공부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공부하자 > 나의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B2C, AUM, 디리스킹의 뜻은? - 기초경제상식 파고들기 (2) | 2024.02.06 |
---|---|
STO, 인슈어테크, DTI의 뜻은? - 기초경제상식 파고들기 (2) | 2024.02.05 |
공매도, 워크아웃, 매파와 비둘기파의 뜻은? - 기초경제상식 파고들기 (0) | 2024.02.03 |
파생상품, PCE지수, FOMC의 뜻은? - 기초경제상식 파고들기 (1) | 2024.02.02 |
뱅크런, 지급준비율, 헤지펀드의 뜻은? - 기초경제상식 파고들기 (1) | 2024.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