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RSU, GDP, 업셀링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RSU의 정의와 스톡옵션 간의 차이점,
GDP의 상세개념을 정리해보고,
마케팅 업셀링 전략에 대해 공부해보겠습니다.
1. RSU (Restricted Stock Unit)
RSU는 양도제한조건부주식이라는 뜻입니다.
지난 번 배운 스톡옵션과 관련하여, 같이 자주 등장하는 용어인데요.
2024.02.07 - GA, 스톡옵션, 인오가닉 전략의 뜻은? - 기초경제상식 파고들기
GA, 스톡옵션, 인오가닉 전략의 뜻은? - 기초경제상식 파고들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보험시장에서 사용되는 단어인 GA, 주식거래와 관련된 스톡옵션, 회사 전략으로 꼽히는 인오가닉 전략에 대해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1. GA(Genaral agency) GA란 여러 보험 회사의
plasticitee1205.tistory.com
RSU도 스톡옵션과 마찬가지로
임직원에 주식을 보상으로 제공해
동기부여를 유도하는 방식이라 할 수 있습니다.
스톡옵션과 RSU의 차이점은?
스톡옵션의 경우 미래 주식 거래권을 갖는다는 개념이지만,
RSU는 근로요건 충족, 일정 기간 양도 불가 등의 특정 조건을 만족할 시
사전 정해진 수량의 자사주 자체를 지급받는 형태입니다.
기업입장에서는 스톡옵션에 비해 제한이 적고,
부여절차도 간편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행사 가격이나 부여 대상자, 행사수량에 제한이 없다고 하네요.
이사회의 결의에 따라 RSU를 지급할 수 있습니다.
주로 장기근속 직원 대상으로
기존의 성과급 제도를 대신하는 방식으로 채택된다고 하네요.
다만, 주식을 지급받는 것이기에
향후 주가가 떨어지면 손해를 볼 수도 있으므로,
임직원에 책임경영을 통한 지속적 성과 창출을 이끌어내는 효과를 기대합니다.
"스톡옵션 대신 RSU 확대.."라는 기사를 보시면
해당 기업이 직원 보상제도를 어떻게
변화시켰는지 알 수 있습니다.
2. GDP(Gross Domestic Product)
GDP는 국내총생산을 뜻하며, 1) 한 나라에서 2) 일정 기간 동안 생산된
3) 모든 최종 재화와 서비스의 시장가치를 말합니다.
가계, 기업, 정부 등 모든 경제 주체가
일정 기간 동안 생산활동에 참여하여 창출한 부가가치 또는 최종 생산물을
시장가격으로 평가한 합계를 의미합니다.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1) 한 나라
한 나라의 영토 내에서 생산된 모든 가치를 측정하므로,
국내에서 외국인이 생산활동한 가치도 포함됩니다.
2) 일정 기간 동안 생산된
대체로 1년이나 1분기를 의미합니다.
또한, 해당 기간에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만 포함되고
과거 거래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3) 모든 최종 재화와 서비스
중간재의 가치는 포함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다만, 장래의 판매를 위해 보관되는 중간재의 경우
최종재로 간주되고, 재고 투자로 포함된다고 하네요.
GDP는 시장가격으로 계산되므로,
가격상승과 같은 물가변동에 의한 요인을 통제해야 연도 간 비교가 가능합니다.
이를 위해 기준 연도를 정하고, 해당 연도의 물가로 계산한 GDP를 실질 GDP라고 합니다.
경제성장이나 변동 등 전반적인 경제활동의 흐름 분석에 쓰입니다.
반면 당해연도 물가로 계산한 GDP는 명목 GDP라 칭합니다.
국가 경제의 규모, 구조 파악에 쓰인다고 합니다.
각종 부채를 GDP대비 표현하기도 합니다.
최근에는 한국의 민간부채가 GDP 대비 225%를 넘었다고 하네요.
선진국(160.3%), 신흥국(150.6%) 비해도 높은 수준이라고 합니다.
3. 업셀링(Up-selling)
업셀링(Up-selling)이란, 마케팅전략의 일종으로
고객이 구매하려고 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추가로 더 비싼 상품이나 업그레이드된 서비스를 제안해
기업의 매출을 올리는 전략입니다.
예를 들어
상품에 패키지 구성을 추가하고,
스마트폰 구매 시 더 높은 가격의 스마트폰 모델을 추천하거나,
고가 요금제로의 가입을 유도하는 것,
보험의 가격을 낮춰 새로운 상품을 가입시키는 것도
일종의 업셀링 전략 중 하나입니다.
업셀링은 고객 경험을 향상시키고
추가 매출을 창출하는 데 효과적이나,
고객의 니즈와 선호도를 고려하여 진행되어야 합니다.
어느 정도 이득을 본다는 느낌이 들 수 있도록 섬세하게 조정해야 합니다.
이에 비해 크로스셀링(cross-selling) 전략이란,
해당 상품 및 서비스와 연관된 다른 분야의 상품을 추가적으로 제시해
구매를 유도하는 방식입니다.
스마트폰 구매 시 추가 보호용품이나 액세서리 구매를 제안하는 식이죠.
업셀링은 동일 분야, 크로스셀링은 타 분야의 상품 구매를
촉진한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RSU, GDP, 업셀링 용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계속 공부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공부하자 > 나의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규제샌드박스, 디플레이션, 우선주의 뜻은? - 기초경제상식 파고들기 (1) | 2024.02.10 |
---|---|
DR, 정책모기지, 밴드웨건 효과의 뜻은?- 기초경제상식 파고들기 (0) | 2024.02.09 |
GA, 스톡옵션, 인오가닉 전략의 뜻은? - 기초경제상식 파고들기 (0) | 2024.02.07 |
B2C, AUM, 디리스킹의 뜻은? - 기초경제상식 파고들기 (2) | 2024.02.06 |
STO, 인슈어테크, DTI의 뜻은? - 기초경제상식 파고들기 (2) | 2024.02.05 |